오늘은 아이들이 콧물이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와 콧물 종류에 따라 어떤 증상을 의심해 볼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기들이 어린이집에 다니게 되면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되죠.
저희 첫째도 어린이집에 가서 감기에 걸려 온 것을 100일도 되지 않은 둘째에게 옮겨 고열이 나서 정말 고생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아기 콧물 나는 이유 및 노란 콧물 없애는 법
[[나의목차]]
아기 감기에 항생제 효과 있을까? 항생제 내성 줄이는 방법 3가지
아기 고열 오한 날 때 응급실 바로 가야 할까 - 아기 열 내리는 방법
아기 콧물이 줄줄 흐르면 어린이집 보내기도 눈치 보이고 요즘처럼 마스크를 쓰고 있을 때는 마스크에 온통 콧물이 묻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추가로 다른 곳에 감염이 될 가능성도 큽니다.
첫째를 키울 때는 아기가 맑은 콧물이 나자마자 바로 집 앞에 있는 소아과를 찾아 진료를 받는데요. 그렇게 계절마다 병원을 가다 보니 아이가 1년 내내 약을 달고 살았습니다.
의사 선생님이 굳이 이렇게 초기에는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얘기했지만 첫째라 그런지 아이가 힘들어하는 것을 저도 보기 힘들어 꾸역꾸역 병원에 갔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둘째가 콧물이 줄줄줄 흘러도 지켜보는 편인데요. 첫째를 키우면서 배웠던 것들 중 하나가 맑은 콧물이 흐르기 시작할 때는 굳이 병원에 바로 갈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때는 아기가 자신의 면역력을 이용해 감기와 싸우고 있는 중이라 바로 약을 먹이게 되면 정상적인 면역력 형성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고 하네요. 또, 맑은 콧물이 나기 시작하면 처방해 줄 약은 콧물을 말릴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해주는 것뿐인데 이 약을 먹으면 바로 콧물이 마르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코 점막이 과도하게 말라 코피가 나거나 코 점액을 통해 막아야 하는 세균을 막아 주지 못해 감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얘기해 주셨습니다.
그러면 아기 콧물이 나는 이유는 감기 외에도 무엇이 있을까요.
콧물이 나는 원인은
1) 알레르기성 비염
2) 인플루엔자 감염
3) 호흡기 바이러스로 인한 감기
4) 급성 혹은 만성 축농증
5) 찬 공기를 직접적으로 들이마신 경우
이 정도가 아기가 콧물 흘리는 이유가 될 수 있겠습니다. 이밖에도 코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코뼈가 휘어 코에 문제가 생기면 콧물이 날 수도 있다고 하는데 대게는 위에 언급한 증상 때문에 콧물이 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러면 콧물의 색깔에 따라 감기 외에 어떤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콧물의 색깔과 농도에 따라 3단계 정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르는 경우는 급성 비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맑은 콧물과 노란 콧물 사이에 색깔이 나오는 경우는 비염이 조금 더 진행되었을 때입니다.
노란 콧물이 나오는 것은 부비동염이 생겼거나 감염성 비염이 생겼을 때입니다.
물론 감기로 인해 콧물이 나는 것이 아기에게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감기가 나아감에 따라 맑은 콧물에서 노란 콧물로, 마지막에는 노란 코딱지까지 진행됩니다.
노란 콧물을 없애는 방법은 아이가 스스로 코를 세척하게 하거나 그럴 수 없다면 콧물흡입기 등을 이용해 빨아들여서 없애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코를 풀 수 있는 정도의 나이가 되면 콧물이 흐르거나 이물감이 생길 때마다 코를 풀 수 있게 해주고 코 세척을 위한 생리식염수 등을 이용해 콧속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인터넷에 찾아보면 코 세척기와 생리식염수 대신 물에 섞어 코를 세척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나옵니다. 아이가 이런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면 콧물이 흐를 때 사용해 노란 콧물을 제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어려서 코를 풀 수도 없고 손으로 짜주는 정도밖에 해주지 못한다면 콧물 흡입기를 사용해 노란 콧물을 제거해 주시면 됩니다.
저도 아기가 어릴 때 몇 번 사용해 봤는데 아이가 하지 않으려고 몸부림치기 때문에 부모가 같이 아이를 꼭 잡고 빠르게 콧물을 흡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콧물이 나는 것을 방치해 두면 부비동이라는 곳에 농이 쌓이면서 축농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코가 귀 쪽으로 이동해 중이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하니 콧물이 많이 나는 아이에게는 꼭 코를 세척해 코 속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포스팅 한 내용을 정리하면
1) 콧물이 나는 원인은 감기 외에도 다양하다.
2) 맑은 콧물이 났다고 해서 바로 병원에 갈 필요는 없다.
3) 콧물 색깔에 따라 의심되는 질병이 다를 수 있다.
4) 노란콧물은 꼭 없애주는것이 좋다.
5) 스스로 가능한 나이라면 코세척을, 아니라면 콧물 흡입기를 사용하자.
오늘은 아기가 콧물이 나는 이유와 콧물 색깔에 따른 의심 증상, 노란 콧물 빼는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단순 콧물만 날때는 병원에 바로 갈 필요가 없지만 재채기나 기침, 열을 동반할때는 병원에 방문해 의사와 상담해보는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