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기 감기에 항생제 효과 있을까? 항생제 내성 줄이는 방법 3가지

by 세상의 지식창고
반응형

요즘 환절기가 되면서 밤낮으로 일교차가 매우 심해서 감기에 걸리는 아기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아기가 감기에 걸려 병원을 찾으면 종종 항생제를 처방해주기도 합니다만 항생제가 과연 감기에 효과가 있을까요? 오늘은 항생제가 감기에 효과가 있는지, 항생제를 사용할 때 내성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감기에 항생제 효과가 있을까? 항생제 내성 줄이는 방법 3가지

[[나의목차]]

 

아기 고열 오한 날 때 응급실 바로 가야 할까 - 아기 열 내리는 방법

 

날씨가 매우 변덕스럽습니다. 일주일 전만 해도 너무 더워서 아이들 데리고 밖에 나가기가 두려웠는데 이제는 낮에 데리고 나가려면 긴팔 옷을 입혀야 할 만큼 낮에도 날씨가 선선해졌습니다.

 

이때 아이들은 감기에 자주 걸리게 되는데요. 저희 아이들도 워낙 계절마다 감기를 잘 걸리기 때문에 병원에서 상비약을 처방받아 보관해두고 콧물이나 코막힘, 재채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준비해 둔 약을 먹입니다.

 

처방받은-아기항생제-사진
감기로 진료를 봤는데 항생제가 여러 증상 완화를 위해 항생제가 처방되었다.

 

그런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거나 열이 날 때 간혹 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해 줄 때가 있는데요. 뉴스를 보면 우리나라 항생제 처방률이 세계 1등이라고 할 만큼 무분별한 항생제 처방이 문제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항생제를 많이 처방한다고 해서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내 몸에 생긴 질병에 맞는 처방이면 조금의 부작용이 있더라도 감수하고 먹는 것과 질병치료나 증상개선에 여지가 없는 약을 처방해 주고 먹으라고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항생제는 항균제의 일종입니다.

그 중 항생제는 세균을 죽이기 위해 만들어진 항균제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아이에게 생긴 질병이 세균 때문이라면 항생제가 효과가 있겠지만 바이러스로 인해 생긴 질병이라면 항생제가 아닌 항바이러스제를 먹여야 합니다.

 

감기 자체를 치료하는데 항생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항생제뿐만 아니라 감기는 아직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없죠. 보통은 대증치료라고 해서 감기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감기 때문에 생기는 여러 증상을 완화하는 약을 사용해 치료합니다.

 

우리가 흔히 감기라고 말하는 증상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목이나 콧속에 감염을 일으켜 생기는 질병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아이에게 생긴 증상이 세균에 감염된 것이 아니라면 항생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감기에는 무조건 항생제 사용 금지, 그렇지는 않습니다.

감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아이의 면역력이 떨어지고 그것이 원인이 되어 세균 감염이 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편도염이나 중이염, 심할 경우 폐렴 등인데요. 그래서 단순 감기에도 증상이 심하다면 의사가 항생제를 처방하는 경우도 있는 것입니다.

 

아기감기약-챔프-사진
아기용 가래, 기침 감기약 챔프. 급할때 사용하기 좋다.

 

만약 감기라고 진단을 받았는데 항생제를 처방해 준다면 혹시 어떤 이유 때문에 항생제가 처방되었는지 물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무조건 항생제를 피하기보다는 항생제로 인해 원인이 되는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면 그리고 그것을 목표로 의사가 항생제를 처방해 줬다면 올바르게 알고 먹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항생제가 나쁘다는 말을 듣고 치료 중간에 항생제 복용을 중단하면 항생제의 내성이 생겨 나중에 정말 항생제 복용이 필요할 때 효과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항생제에 내성을 줄이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 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왜 필요한지 반드시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단순 바이러스 감염일 때는 항생제 사용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3) 항생제 복용으로 증상이 호전되어도 의사가 처방해준 일수만큼 중단 없이 항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항생제에 내성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관심입니다. 왜 항생제가 필요한지,  하루에 몇 번 먹여야 하는지, 며칠이나 먹여야 하는지 꼼꼼하게 물어보고 처방해 준 복용 방법에 따라 정확히 항생제를 먹이는 것이 항생제에 내성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여러 번 말씀드렸지만 세균 감염 외에는 감기 자체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으니 의사 선생님께서 특별히 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는 경우에는 부모가 억지로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해보면

1) 항생제는 항균제의 일종으로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한다.

2) 감기 자체를 치료하는데 항생제는 효과가 없다.

3) 단, 감기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생기는 각종 증상에는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다.

4) 항생제 처방을 받았다면 의사 지시에 따라 정확한 시간과 기간, 복용 횟수를 지켜 복용해야 항생제 내성을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아기가 감기에 걸렸을 때 처방받는 항생제의 효과에 대해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항생제가 단순 아기의 코감기나 목감기, 기침감기를 낫게 해 줄 수는 없지만 감기 증상이 번져 생길 수 있는 각종 질병에는 항생제 효과가 있으니 꼭 의사에게 자세히 물어보고 복용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환절기인 만큼 에어컨 바람을 맞으면 감기에 더 쉽게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하시고, 감기에 걸렸다면 아이 목욕이나 머리 감기는 최대한 자제해주는 것이 감기를 빨리 낫게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