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신생아 아기에게 많이 생기는 엉덩이 딤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엉덩이에 딤플은 왜 생기는지, 딤플이 있다면 어떤 경우 초음파 검사를 하게 되는지, 특이 증상이 있는데도 딤플 검사와 치료를 하지 않으면 어떤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신생아 아기 엉덩이 딤플 수술해야 할까? 증상과 위험성 확인하기
신생아가 태어나면 병원에서는 아기가 잘 우는지, 손가락 발가락 개수는 5개가 맞는지 검사를 합니다. 저도 첫째가 태어날 때는 산모 옆에 있었기 때문에 간호사가 바로 확인을 시켜줬던 기억이 나는데요. 눈도 못 뜬 아기를 이리저리 돌려가며 비정상적인 부분이 없는지 확인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몇 년이 흘렀네요.
둘째가 태어날 때는 제가 병원에 있질 않아서 이런 확인 과정을 거치지 못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고 신생아실에서 처음 얼굴을 보던 날 간호사가 아이에 대해 설명해주면서 엉덩이에 딤플이 있어 소아과 선생님과 어떻게 할지 상의 중이라고 말해줬습니다.
첫째도 딤플이 있긴 했었는데요. 그때는 그냥 있다고만 했지 검사를 해야 한다는 말은 하지 않았는데 둘째는 검사를 해야 한다고 하니 얼마나 걱정이 되던지, 그때 바로 인터넷에서 딤플 관련 글을 찾아봤던 기억이 나네요.
아기 엉덩이에 딤플이 생기는 이유는 피부가 신경관으로 말려 들어가서입니다.
아기 엉덩이에 생기는 딤플은 신생아 딤플이라고 부르며 태어날 때부터 엉덩이 위쪽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임신을 하고 태아가 형성될 때 신경판과 피부조직 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피부가 신경관으로 말려들어가면서 딤플이 생긴다고 하네요.
저도 처음에 엉덩이 위에 구멍이 하나 더 있어서 무슨 이런 병이 있나 생각하면서도 혹시 구멍이 깊어서 항문과 연결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었습니다.
신생아 딤플 검사는 보통 초음파를 통해 검사를 합니다.
저희 아기는 대학병원에서 출산했기 때문에 바로 영상의학과 교수님이 진료를 봐주셨습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시길 딤플은 신생아에서 아주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보통은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단, 딤플이 있는 아기 5% 정도는 척추 관련 신경계 이상을 동반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관찰 후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빠르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 생후 6개월 이전 신생아: 초음파 검사
- 생후 6개월 이상 신생아: MRI 검사
생후 6개월이 지나면 뼈가 단단해지고 밀도가 높아지면서 초음파를 통해서는 검사가 쉽지 않다고 합니다. 이럴 때는 MRI를 통해 검사를 해야 하는데, 초음파는 보호자가 잡고 있으면 비교적 쉽게 검사할 수 있는데 반해 MRI는 긴 시간 움직이지 않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잡고 있는 것도 쉽지 않아 보통 잠자는 약을 투여해 검사한다고 합니다.
딤플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딤플 주변에 빨간색 반점이나 혈관종이 있는 경우
2) 항문과 일직선에 딤플이 위치하지 않고 y자 형태의 딤플이 있는 경우
3) 딤플이 휘어지거나 털이 집중적으로 나있는 경우
4) 딤플 깊이가 너무 깊은 경우
5) 딤플에서 진물이나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6) 딤플이 항문과 많이 떨어진 경우(대략 2.5cm 이상)
저희 아기는 딤플 깊이가 너무 깊어서 검사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검사 결과 다행히 신경과 관련된 문제는 전혀 없고 혹시 모르니 영유아 검진을 할 때 추적검사만 주기적으로 해주면 된다고 해서 얼마나 다행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딤플은 보통 살이 찌면 보조개도 없어지듯이 엉덩이에 살이 찌면서 딤플이 채워져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간혹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딤플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 있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저희 아기도 2살이 된 지금도 처음 모습 그대로 딤플이 있는데요. 이때는 딤플에 이물질이 들어가 곯지 않게 관리를 잘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딤플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하지 근육이 약해져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2) 신경이 마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관절 형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4) 대소변 기능의 장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딤플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생길 수 있는 후유증은 대부분 하지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많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척추와 관련된 신경이기 때문에 그런 듯한데요. 딤플이 있다면 영유아 검진 시 반드시 의사에게 말하고 주기적으로 확인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관리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신생아 엉덩이 딤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